인터배터리 2022 !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전지산업협회, 코엑스가 주관하는 ‘인터배터리(InterBattery) 2022’가 3월 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 A홀에서 열렸습니다.인터배터리는 국내 유일의 배터리 전문 전시회로 이차전지 배터리 제조사들이 참가하며, 음극재, 전해액 등의 배터리 시장을 선도하는 250여 국내외 기업들이 대거 참가했으며 에너테크도 새로운 제품과 기술을 선보이며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이번 행사와 동시 개최됐던 ‘xEV TREND KOREA 2022’(3월 17~19일)에서는 는 현대차, 기아차, 볼보 등 국내 전기차 브랜드들이 대거 참여하여 최근 출시 또는 향후 출시 예정인 다양한 EV 모델들이 전시하며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했습니다.한국전지사업협회 이명규 실장은 “코로나 상황에도 전년대비 1.5배 커진 규모로 업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만큼 최신 혁신 배터리 트렌드를 한 자리에서 접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며 “세계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이차전지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습니다.관리자
한송네오텍 , 에너테크와 공급 계약
한송네오텍의 2차전지 자회사 신화아이티가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제조기업과 고성능 2차전지 소재 장기공급계약 체결에 성공했다. 신화아이티는 최근 미국 ‘솔리드에너지시스템’, ‘에노빅스’ 중국의 ‘중신궈안멍구리(MGL) 등 공급협의와 전략적 MOU를 맺은 바 있어, 이번 계약을 기점으로 추가 수주도 기대된다.신화아이티는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에너테크인터네셔널(에너테크)’과 고성능 리드탭 장기공급계약을 체결하고 62억원 규모의 초도 물량을 공급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스펙인(Spec-in)을 통해 고객 맞춤형 양산 모델로 공급된다. 계약기간은 3년이다. 2001년 설립된 에너테크는 니켈 80% NCM 배터리를 상용화해 미국 완성차 업체의 ‘딜리버리 밴’에 공급할 예정이다. 에너테크는 최근 러시아 최대 완성차업체 ‘아보토르’에 전기차 10만대 규모의 배터리를 공급하기로 했으며, 신규 수주 물량 증가로 러시아에 추가 공장 건설도 추진 중이다.에너테크는 지난해 세계 원자력발전 1위 러시아 국영기업 ‘로사톰’의 자회사 ‘레네라(RENERA LLC)’에 인수돼 러시아 전기차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에너테크의 러시아 공장은 유럽과 인접해 있어 배터리 공급망을 구축해 글로벌 전기차 시장 공략도 강화할 계획이다.신화아이티는 최근 다수의 글로벌 고객사들의 수주 증가에 대비해 2차전지 소재 제조공장 및 생산설비를 증설하기로 결정한 바 있으며, 올해 3분기까지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준공 후 신화아이티의 고성능 리드탭 생산능력은 5배로 확대돼 수요 급증하고 있는 고사양 배터리 시장에 대응이 가능할 전망이다.한송네오텍 관계자는 “신화아이티는 현재 글로벌 차세대 배터리 회사들과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고 공급 협의를 하는 등 2차전지 소재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이번 에너테크와의 장기공급계약을 통해 러시아 및 유럽 시장에 진출하는 발판을 마련하게 돼 향후 공급물량 증가가 예상된다”고 말했다.그는 이어 “이외에도 글로벌 전고체배터리 기업들과도 기술개발 협의를 진행 중이며 배터리 용량 증가 및 성능 향상 등으로 고성능, 고용량 리드탭에 대한 수요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에 맞춰 기술력 강화 및 생산설비 증설 등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30509]관리자
에너테크, 美 에너베이트와 전기바이크 배터리에 '실리콘 음극재' 첫 적용
에너테크인터내셔널이 미국 배터리 소재 스타트업 에너베이트와 전기모터바이크에 실리콘 음극재 기반 배터리 탑재를 추진한다. 실리콘 음극재는 배터리 충전 속도를 높이고 에너지 용량을 올리는 차세대 배터리 신소재로 꼽힌다. 에너테크는 실리콘 음극재를 채택한 배터리를 내년부터 공급할 예정이다.14일 업계에 따르면 에너테크인터내셔널은 내년 이탈리아 모터바이크 업체에 실리콘 음극재를 적용한 배터리를 공급할 계획이다.실리콘 음극재는 배터리 충전 시간을 단축하고 에너지 밀도를 높인다. 기존 흑연계 음극재보다 에너지 밀도가 10배 높아 차세대 배터리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실리콘 음극재 시장은 2025년 5조5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실리콘 음극재는 미국 에너베이트가 공급하고, 배터리는 에너테크가 맡아 제조한다. 에너테크는 하이니켈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에 에너베이트 실리콘 음극재를 적용해 내년 하반기 출시 예정인 전기 바이크에 탑재할 계획이다.에너테크 관계자는 “배터리에 실리콘 음극재를 적용하면서 내연기관 차량의 주유 시간 만큼 빠른 속도로 충전하고 높은 에너지 밀도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에너테크가 NCM 배터리에 실리콘 음극재를 적용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실리콘 음극재는 배터리 성능을 강화하지만, 배터리 제조 단가를 높일 수 있어 프리미엄 전기모터 시장에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에너테크는 전기바이크뿐 아니라 프리미엄 전기차를 중심으로 실리콘 음극재 적용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19년 포르쉐가 처음 출시한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 타이칸에 실리콘 음극재를 적용한 바있다.오덕근 에너테크 대표는 “에너테크 NCM 배터리 제조 기술과 에너베이트의 실리콘 음극재 기술이 결합해 고객사 요구에 맞춰 배터리 개발 속도를 올리겠다”고 말했다.로버트 랑고 에너베이트 최고경영자(CEO)는 “실리콘 음극재로 배터리 고속 충전, 에너지 밀도를 향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www.etnews.com/20210614000102]관리자
에너테크, 이화전기와 배터리팩 합작공장 설립 협약
에너테크인터내셔널과 이화전기가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용 배터리를 생산한다. 중동 원자력발전 시장 공략을 위해 국내 배터리 업체와 전력기기 업체가 손을 잡았다. 국내외 원전 시장을 공략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에너테크와 이화전기는 오덕근 에너테크 대표이사와 심정보 이화전기 부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배터리팩 합작공장 설립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고 6일 밝혔다.양사는 연내 합작회사(JV) 설립을 목표로 UPS용 배터리팩 공장을 경기도 지역에 건립하기로 했다. 구체적인 UPS 생산능력과 고객사 등은 추후 논의를 통해 확정하기로 했다. UPS는 중대형 에너지저장장치 일종으로 전력을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쓰는 비상 전력공급장치다.에너테크는 2001년 배터리 제조에 뛰어들어 탄탄한 기술력과 생산시설 확보로 국내외 기업으로부터 인정받아온 기업이다. 미국, 러시아 기업에 전기차용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 특히 대주주가 세계 최대 러시아 원전기업으로 ESS와 전기차 배터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이화전기는 국내 UPS 제품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고 다양한 해외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안정적 배터리 공급업체를 물색하고 있는 상황에서 에너테크와 협력으로 UPS 시장을 공략한다.양사 관계자는 “국내 전문 제조기업 간 배터리 합작 사업으로 국내 시장뿐만 아니라 러시아, 중동 등 해외 시장 개척에 새로운 기회를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www.etnews.com/20210606000030]관리자
에너테크, 전기차용 LFP 배터리 상용화 도전
국내 배터리 전문업체들이 힘을 합쳐 전기차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개발에 나서 관심이 쏠리고 있다. LFP는 가격이 저렴하고 안전성이 우수한 배터리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그동안 국내에서는 제조하는 곳이 드물고 특수 용도로 활용되는 데 그쳤다. 그러나 전기차 시대 배터리 비용 절감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LFP 배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24일 업계에 따르면 에너지머티리얼즈는 에너테크인터내셔널과 전기차 배터리 탑재를 목표로 LFP 배터리 개발에 나섰다. 에너지머티리얼즈는 LFP 양극재를 맡고, 에너테크인터내셔널은 양극재를 기반으로 전기차용 배터리 완제품을 만들 계획이다. LFP는 주로 중국 배터리 업체들이 힘을 실었다. 그러나 LFP 배터리는 최근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전기차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배터리 가격도 낮아져야 하는데 LFP가 전기차 대중화에 적합한 배터리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또 LFP에 망간을 첨가한 LFMP 배터리의 경우, 저렴한 가격에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배터리 성능을 강화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LFP 배터리 시장 성장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에너지머티리얼즈와 에너테크인터내셔널는 현재 개발 단계에 있어 최종 상용화 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 하지만 국내 유일 LFP 양극재 회사와 전기차 및 전기버스에 배터리를 공급한 이력이 있는 전문 기업 간 협력인 만큼 성과 도출에 기대가 쏠리고 있다.에너지머티리얼즈 관계자는 “LFP 배터리만의 저렴한 가격과 안전성은 유지하면서 제품 성능적 문제를 보완한 양극재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며 “전기차, ESS 등 양극재 사용 범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www.etnews.com/20210524000100]관리자
인터배터리 2019
국내 유일의 배터리 전문 전시회 ‘인터배터리 (InterBattery) 2019’가 10월 16일(수)부터 1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3일간 개최됐다.‘인터배터리 (InterBattery) 2019’는 해외 배터리 전문 전시회인 배터리 재팬(Battery Japan), CIBF(China International Battery Fair)와 함께 세계 3대 전지산업전으로 주목받는 전시회다.Enertech는 이번 전시회에 참가하여 직접 생산하는 전극부터 팩 시스템까지 모든 사람들에게 좋은품질의 제품을 소개했다.관리자
높은 에너지 밀도를 위한 얇은 NCM (Nickel-Rich) 음극 전극
Sion Power Corporation: Enertech와 Sion Power는 UAV (무인 차량 시스템) 용 고 에너지 밀도 리튬 금속 셀 (500Wh / kg, 1,000Wh / L) 을위한 얇은 NCM (Nickel-Rich) 양극 공급 계약을 체결했습니다.Sion Power는 리튬 배터리 기술의 선도적인 개발자이며 2019년 4월까지 새로운 배터리 테스트 시설의 획기적인 시설이 건설 될 예정이며 이 새로운 시설은 Tucson의 3,000 개 이상의 셀 테스트 채널을 포함 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관리자
월미바다열차에 장착 된 에너테크 배터리
국내 최장 도심형 관광모노레일이 다시 달리기 시작했습니다.평균 차량 속도가 시속 14.4km인 모노레일은 인천에서 월미도까지 4개역을 운행하며 약 35분이 걸립니다.모노레일에 장착하는 배터리는 순수 국내 기술로 에너테크 인터내셔널에서 공급하는 Cell 및 Sub-Pack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뛰어난 안전성을 자랑하는 제품입니다. 6Kwh 에서 27Kwh의 용량을 가진 이 배터리는 안전성 문제로 사업을 중단 할 가능성이 있는 모노레일 사업에 적합한 해결책으로 떠올랐고 에너테크는 인천을 시작으로 전국적 사업에 키플레이어로 활동할 것으로 보인다.관리자
테스트용 Dry Cell 공급
Tomiyama (TOMYPURE) : Tomiyama Japan과 Enertech는 충전식 배터리 셀 용 전해질 테스트를 위해 매우 얇은 NCM811-GR 건전지 (100mAh)에 공급 계약을 체결했습니다.Tomiyama는 70 년 이상 차세대 화학 기술의 세계적인 개발자로서, Enertech는 다양한 전극 구성으로 생산 된 건전지를 공급하기 위한 새로운 미래 사업 기회를 기대합니다.관리자
국방 산업용 배터리
SPM Talos : SPM Talos (한국 방위 산업 배터리 공급 업체)와 Enertech 는 TMMR (Tactical Multi-band Muti-Role Radio) 통신 시스템 용 리튬 배터리 셀 공급 계약을 체결하여 소대 및 대대 전투 유닛에 2020 년부터 공급하기로 했습니다.Enertech는 높은 물리적 스트레스, 높은 열에 대해 내구성이 높고 구현 될 강력한 군용 통신 장치에 적합하고 2020년 모든 전투 부대에서 사용 될 긴 사이클 성능을 갖춘 CCS (C 세라믹 코팅 분리기)를 갖춘 매우 특수한 유형의 LIPO 셀을 개발하고 있습니다.관리자
자세히보기
윤리경영
사회와 고객으로부터 신뢰 받는 기업, 임직원에게는 일하고 싶은 직장이 되기 위해서 모든 임직원은 다음의 윤리경영 행동준칙을 준수한다.
우리는 에너테크인터내셔널의 일원으로 긍지와 자부심을 갖고, 직무수행 및 일상생활에 비윤리적 행위를 근절한다.
우리는 고객만족과 청렴을 최우선으로 여기며, 고객의 의견을 존중하고,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우리는 협력사를 비롯한 모든 이해관계자와 동등한 관계를 유지하고, 투명하고 공정한 거래를 통해 상호 협력관계를 구축한다.
우리는 회사의 자산과 정보를 보호하고, 업무와 관련하여 개인의 이익을 도모하지 않는다.
우리는 법, 질서, 규정을 준수하고 절차를 지키며, 불합리한 관행이나 온정주의에서 벗어나 기본과 원칙에 입각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앞장선다.
우리는 임직원 개개인의 인격을 존중하고 차별대우를 하지 않으며, 합리적인 제도를 바탕으로 업적과 능력에 따라 공정하게 평가하고, 지속적인 자기계발과 학습으로 개인과 회사의 발전을 도모한다.
우리는 사회공동체의 일부분으로써 지역사회 봉사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국가와 사회 발전에 기여한다.
품질환경방침
“고객만족 실현과 사람과 자연을 존중하는 기업 활동을 통하여 인류의 풍요로운 삶과 지구 환경의 보전에 이바지한다” 이며, 이것을 성공적으로 완성하기 위하여 고객 방문을 통한 고객의 Needs를 파악하고, 고객의 잠재적인 요구사항을 인지하여 요구되는 품질을 확보하고 차별화된 설계, 제조, 품질,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기업의 사회 가치 구현과 환경 보존을 위하여 환경 법규와 기타 환경 관련 요구사항을 준수하고, 심각한 환경 영향 평가를 통하여 폐기물의 발생량 및 에너지 사용량의 저감을 중점을 두고 환경 성과를 지속적으로 개선한다.